반응형
알고 받는 복지, 모르고 놓치는 손해. 정부에서 제공하는 각종 공공지원 혜택, 어디서부터 어떻게 찾아야 할지 막막하셨죠? 2025년부터는 ‘혜택알리미’ 하나만 있으면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·지원 정보를 자동으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 혜택알리미란 무엇인지, 신청 방법과 종류까지 지금 바로 알아보세요.
혜택알리미란?
혜택알리미는 정부가 제공하는 수많은 공공서비스 중 개인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혜택을 자동으로 찾아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.
- 운영 기관: 행정안전부
- 서비스 목적:
- 국민 개개인이 자신에게 필요한 공공서비스를 놓치지 않도록
- 출산, 구직, 이사, 청년 등 생애주기별 혜택을 자동 안내
혜택알리미 종류
2025년에는 다음과 같은 4대 분야 중심으로 1,100개 이상 공공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출산 | 출산지원금, 아동수당, 육아용품 바우처 |
구직 | 국민내일배움카드, 취업지원금, 고용장려금 |
이사 | 전입신고 서비스, 교통비 할인, 지역 맞춤 복지 |
청년 | 청년월세지원, 전세자금대출, 자산형성 지원 |
※ 2026년까지 서비스 범위는 3,600여 개로 확대 예정
혜택알리미 이용방법
이제는 복잡한 검색 없이, 앱 알림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Step 1. 이용 가능한 앱 확인
- 기업은행(i-ONE Bank)
- 신한은행(신한 쏠)
- 추후 네이버, 카카오, KB국민은행 등도 연계 예정
Step 2. 앱 실행 → ‘혜택알리미’ 메뉴 클릭
- 마이데이터 또는 공동인증서로 본인인증
- 정보제공 동의 항목 체크 (복지부, 행안부, 고용부 등 연계 필요)
Step 3. 알림 설정 후 수신 시작
- 내가 받을 수 있는 공공서비스가 생기면 앱 알림 또는 메시지로 자동 안내
혜택알리미 신청방법
현재는 별도 웹사이트가 아닌 참여 금융사 앱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.
- 은행 앱 실행 → ‘혜택알리미’ 배너 클릭 혹은 검색
- 이용 약관 및 개인정보 수집·제공 동의
- 본인인증 (마이데이터 연동 또는 인증서)
- 서비스 연동 완료 후, 맞춤형 혜택 알림 수신 시작
※ 추후 ‘정부24’ 등과 연계해 공공 플랫폼에서도 서비스 확장 예정
활용 꿀팁
- 청년층: 생애 최초 취업지원, 전월세 지원, 장려금 놓치지 않기
- 신혼부부·출산 가정: 출산축하금, 육아수당, 건강보험 혜택 등 자동 수신
- 고령층: 기초연금, 의료비 지원, 노인 일자리 등 확인 가능
- 이사·전입 시: 새 주소지 기준 맞춤 혜택 안내
정부의 복지 정책은 많지만, 알아야 받을 수 있습니다. 혜택알리미는 개인의 자격과 상황에 따라 언제,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자동으로 안내해주는 똑똑한 서비스입니다. 2025년, 더는 지원을 놓치지 맙시다. 혜택알리미 신청은 지금이 딱 좋은 타이밍입니다.
반응형